[파이썬 알고리즘] 스택과 큐, 재귀 함수
업데이트: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 DFS/BFS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말한다.
대표적인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DFS와 BFS가 있다.
이는 코딩 테스트에서 매우 자주 등장하는 유형이기에 반드시 알고있어야 한다.
DFS와 BFS를 이해하려면 기본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 더해서 재귀 함수에 대해 알고있어야 한다. 따라서 스택과 큐, 재귀 함수 먼저 정리하려고 한다.
자료구조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말한다.
그 중 스택과 큐는 자료구조의 기초 개념으로 Push와 Pop의 함수로 구성된다.
- Push : 데이터 삽입
- Pop : 데이터 삭제
이 외에도 저장 공간을 초과할 때 발생하는 오버플로(Overflow)나 저장 공간이 비어있을 때 삭제 연산을 수행하면 발생하는 언더플로(Underflow)도 고려해야한다.
스택 Stack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나중에 나가는 자료구조이다. 이를 선입후출(First In Last Out) 구조 또는 후입선출(Last In First Out) 구조라고 한다.
입구와 출구가 동일한 형태로 스택을 시각화 할 수 있다.
파이썬에서 스택을 이용할 때에는 별도의 라이브러리 사용 없이 append()
와 pop()
메소드를 이용하면 된다.
append()
: 리스트 가장 뒤쪽에 데이터 삽입pop()
: 리스트 가장 뒤쪽에서 데이터 제거, 반환
큐 Queue
큐의 경우 대기 줄과 같이 나중에 온 사람일수록 나중에 들어가는 공정한 자료구조로 비유된다.
이를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구조라 한다.
큐는 위와 같이 입구와 출구가 뚫려 있는 터널로 시각화할 수 있다.
파이썬으로 큐를 구현할 때에는 collections 모듈에서 제공하는 deque(데크) 자료구조를 활용하자.
deque는 스택과 큐의 장점을 모두 채택한 것으로, 데이터를 넣고 빼는 속도가 리스트에 비해 효율적이고 queue 라이브러리보다 더 간단하기 때문이다.
deque를 이용한다면 append()
와 popleft()
메소드를 사용하면 된다.
append()
: deque 가장 오른쪽에 데이터 삽입popleft()
: deque 가장 왼쪽 데이터 제거, 반환
간단한 예제로 알아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삽입(1) - 삽입(2) - 삽입(3) - 삭제() - 삽입(1) - 삭제()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queue = deque() # Queue 구현
queue.append(1)
queue.append(2)
queue.append(3)
queue.popleft()
queue.append(1)
queue.popleft()
# 먼저 들어온 순
print(queue) # deque([3, 1])
# 나중에 들어온 순
queue.reverse()
print(queue) # deque([1, 3])
예제에서 출력 결과를 보면 그림으로 이해했던 것과는 반대의 순서인 것을 확인할 수있다.
따라서 이 점을 주의하고, 그림과 같은 순서로 확인하고 싶다면 reverse()
메서드를 사용하도록 하자.
collections 모듈의 deque 객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파이썬 공식 문서를 참고하자.
재귀 함수 Recursive Function
재귀 함수란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말한다.
이전에 팩토리얼 관련한 문제를 풀 때 재귀 함수를 사용했었다.
1
2
3
def factorial(x):
return (x * f(x-1)) if x else 1
# 음수가 들어올 경우는 생각하지 않았다.
위와 같은 함수의 경우 x가 1씩 작아져 0이 되면 끝나게 되지만 만약 아무 조건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1
2
3
4
def infinite():
print('무한한 반복')
return infinite()
# RecursionError: maximum recursion depth exceeded while pickling an object
무한히 평생 반복할 것 같지만, RecursionError라는 오류 메세지를 출력하고 멈추게 된다.
이는 재귀의 최대 깊이를 초과했다는 내용으로 파이썬 인터프리터의 호출 횟수 제한을 벗어났기 때문에 발생한 오류이다.
따라서 무한한 재귀 호출은 불가능하므로 염두해두자. (이를 요구하는 문제가 출제되는 일이 없기도하다.)
재귀 함수의 종료 조건
재귀 깊이 초과 메세지를 피하기 위해 재귀 함수가 언제 끝날지 종료 조건을 반드시 명시해야 한다.
컴퓨터 내부에서 재귀 함수의 수행은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한다.
함수를 계속 호출했을 때 가장 마지막에 호출한 함수가 먼저 수행을 끝내야 그 앞의 함수 호출이 종료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택 자료구조를 활용해야 하는 알고리즘은 재귀 함수를 이용하여 간편히 구현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DFS가 있다.
팩토리얼
팩토리얼 역시 재귀 함수의 대표적인 예제이다. 아래 코드로 알아보자.
반복적으로 구현
1
2
3
4
5
def factorial:
result = 1
for i in range(1, n+1):
result *= i
return result
재귀적으로 구현
1
2
3
4
def factorial:
if n <=1:
return 1
return n * factorial(n - 1)
재귀적으로 구현한 방식이 조금 더 간결한 것을 알 수 있다.
유클리드 호제법
유클리드 호제법은 두 개의 자연수에 대한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아래와 같은 아이디어를 말한다.
“두 자연수 A, B에 대하여 (A > B)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R이라고 할 때, A와 B의 최대공약수는 B와 R의 최대공약수와 같다.”
이를 이용하여 최대공약수를 빠르게 구할 수 있다. 아래 예제로 알아보자
A = 192, B = 162
단계 | A | B |
---|---|---|
1 | 192 | 162 |
2 | 162 | 30 |
3 | 30 | 12 |
4 | 12 | 6 |
이를 파이썬 코드로 구현한다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1
2
3
4
5
def gcd(a, b):
if a % b == 0:
return b
else:
return gcd(b, a % b)
점화식
점화식은 아래와 같이 수학에서 수열의 각각의 항들의 관계를 나타낸 식이다.
\[a_n = 2a_{n-1} + 1\]재귀 함수는 이런 점화식을 소스코드로 옮긴 것이다.
따라서 반복문과 비교했을 때 간결해질 수 있는 것이다.
Notice: 이 게시물은 한빛미디어의 이것이 코딩 테스트다 교재를 참고하였습니다.
댓글남기기